본문 바로가기

금강경 강설

14장-4

The paramita of patience. Your patience should not bear the mark of patience. If it does you still have an attachment to patience. If you still have not relinquished patience, you cannot be truly patient. True patience is devoid of a mark of self, a mark of others, a mark of living beings, and a mark of a life. When the four marks are non-existent, what do you still have which can be patient?

인욕 바라밀. 여러분의 인욕은 인욕의 상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만약 그렇다면 여러분은 여전히 인욕에 집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도 인욕을 버리지 않으면 진정으로 인욕할 수 없습니다. 진정한 인욕에는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없습니다. 사상이 존재하지 않을 때, 무엇을 여전히 인욕할 수 있습니까? 

 

From the point of view of common truth, the paramita of patience is said to be the paramita of patience, yet it is no paramita of patience. If you realize the emptiness of people, the emptiness of the dharma, and the emptiness of emptiness, what patience is there to perfect? There is none. Therefore it is called the paramita of patie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iddle Way the paramita of patience is a name and nothing more.

일반적인 진리의 관점에서 인욕 바라밀은 인욕 바라밀이라고 하지만 인욕 바라밀은 아닙니다. 인공, 법공, 구공을 깨닫는다면, 완벽하게 하기 위한 어떤 인욕이 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것을 인욕 바라밀이라고 합니다. 중도의 관점에서 인욕 바라밀은 이름일 뿐입니다.

 

Why is the paramita of patience said to be devoid of patience? “Subhuti, it is just as when I, on the causal ground, had my body dismembered by the King of Kalinga.” Long before in a former life, Sakyamuni Buddha had been a young cultivator practicing in the mountains about thirty miles from the capital city where the King of Kalinga held court. One day the king decided to go hunting and called together a party of soldiers, ministers, and officials to accompany him. To complete the party he summoned the most beautiful concubines in the palace. Actually he could not bear to part with his women for even the duration of a hunting trip. He found them a most pleasant pastime.

왜 인욕 바라밀은 인욕이 없다고 말합니까? "수보리여, 그것은 마치 내가 가리왕에게 온 몸을 마디마디 잘렸을 때와 같다." 전생 훨씬 전에 석가모니 부처님은 가리왕이  통치하는 수도에서 약 30마일 떨어진 산에서 수행하는 젊은 수행자였습니다. 어느 날 왕은 사냥을 가기로 결정하고 그와 동행하기 위해 군인들, 장관들, 관리들로 구성된 무리를 소집했습니다. 유흥을 더하기 위해 그는 궁전에서 가장 아름다운 후궁들을 불렀습니다. 사실 그는 사냥을 하는 동안에도 그의 여자들과 헤어지는 것을 참을 수 없었습니다. 그는 그들이 가장 즐거운 유흥임을 알았습니다.

 

The hunting grounds on the mountain were very large, and the King of Kalinga immediately set out in pursuit of big game, leaving the timid women behind to entertain themselves. As the women strolled around on the mountain, they happened upon the young bhiksu who was only eighteen or nineteen years old and quite handsome, despite the fact that his hair had grown long and his clothes were tattered. When they first spied him they thought he was a kind of weird creature or a man-eating beast, and they panicked. “Look,” they gasped, clutching one another, “there’s a wild animal that looks like a man!”

산 위의 사냥터는 매우 넓었고, 가리왕은 여인들을 그들끼리 즐기도록 뒤에 남기고 큰 사냥감을 쫓기 위해 즉시 출발했습니다. 여자들이 산 위를 어슬렁거리다가 머리가 길고 옷은 남루했지만 겨우 열여덟 살이나 열아홉 살 정도의 꽤 잘생긴 젊은 비구를 우연히 만났습니다. 처음 그들이 그를 몰래 보았을 때 그들은 그가 이상한 생물이거나 사람을 잡아먹는 짐승이라고 생각했고 당황했습니다. "보세요." 그들은 숨을 헐떡이며 서로를 붙잡았습니다. "사람처럼 생긴 야생 동물이 있어요!"

 

“I am not a wild animal, I am a cultivator of the Way,” the young man assured them.

"나는 야생 동물이 아니라 도를 수행하는 사람입니다."라고 젊은이 그들에게 분명히 말했습니다.

 

When the concubines heard that the creature could talk their curiosity was aroused, and they edged closer to speak with him. “What does it mean to ‘cultivate the Way’?” they asked, for they had never been outside the confines of the palace, and so had never heard of such a thing. The young cultivator spoke dharma for them. Seeing what they had never seen before, and hearing what they had never heard before, soon they were enthralled and forgot everything – even who and where they were.

후궁들은 그 생명체가 말할 수 있음을 듣고 호기심이 발동하여, 그와 이야기하기 위해 조금씩 다가갔습니다. 그들이 물었습니다. `도를 닦는다는 것은 무슨 뜻입니까?' 그들은 궁전의 울타리 밖에 나가 본 적이 없어서, 그런 말을 들은 적이 없었습니다. 그 젊은 수행자는 그들을 위해 법을 설했습니다. 그들은 이전에 보지 못했던 것을 보고, 이전에 듣지 못했던 것을 듣고, 곧 매료되어 그들이 누구이고 어디에 있는지조차 모든 것을 잊었습니다.

 

Meanwhile the King of Kalinga returned from his expedition to discover that his palace concubines had wandered away. He set out to find them. Eventually he caught sight of them gathered around the strange-looking man. The king, bent on discovering who the man was and what he was doing with the concubines, crept silently towards them like a spy on a secret mission. When he got close he paused, listened to the young cultivator speaking dharma, and realized that the concubines were so enraptured they had not noticed the arrival of their king. Whereupon the King of Kalinga cleared his throat and challenged the young man, “What are you doing here?”

한편, 가리왕의 왕은 사냥에서 돌아와 그의 후궁들이 다른 곳에 간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그들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마침내 그는 그들이 이상하게 생긴 남자 주위에 모여 있는 것을 목격했습니다. 왕은 그 사람이 누구인지, 후궁들에게 무슨 짓을 하고 있는지 알아내려고 비밀 임무를 수행하는 스파이처럼 조용히 그들을 향해 다가갔습니다. 그가 가까이 와서 잠시 멈추고, 그 젊은 수행자가 법을 설하는 것을 들었고, 후궁들이 너무 황홀해서 그들의 왕이 온 것을 알아차리지 못했음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가리왕의 왕은 목청을 가다듬고 젊은이에게 "여기서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고 물었습니다.

 

“I am cultivating the Way,” replied the bhiksu.

"나는 도를 수행하고 있습니다."라고 비구가 대답했습니다.

“Have you attained the fruit of Arhatship in your cultivation?” asked the king.

왕이 물었습니다. `자네는 수행에서 아라한과를 얻었는가?'

“No,” said the young cultivator, “I have not certified to Arhatship.”

"아닙니다." 젊은 수행자가 말했습니다. "저는 아라한과를 증득하지 못했습니다."

“Have you attained the third stage?” continued the king.

왕은 "아나함에 도달했는가?"라고 계속했습니다.

“No,” said the bhiksu, “I have not certified to the third fruit.”

"아니요."라고 비구가 말했습니다. "저는 아나함과를 증득하지 않았습니다."

 

“I have heard there are people who live in the mountains and by eating a certain kind of fruit they attain immortality, but they still are not free of greed and desire. They still have lust in their minds. You are so young and you haven’t certified to any of the fruits of the Way. Do you give rise to thoughts of lust?” asked the king.

"산에 살면서 어떤 종류의 과일을 먹으면 불로장생하는 사람들이 있다고 들었지만, 그들은 여전히 탐욕과 욕망에서 자유롭지 못하네. 그들은 여전히 마음속에 욕망을 가지고 있네. 자네는 너무 어리고 그 어떤 것도 증득하지 않았네. 자네는 욕망의 생각을 일으키는가?" 왕이 물었습니다.

 

“I have not cut it off,” replied the bhiksu.

"나는 그것을 끊지 않았습니다." 비구가 대답했습니다.

 

With that reply the King of Kalinga became enraged. “If you haven’t cut off lust, then when you see my… these women…you see them like this…how can you be patient with the lust which arises in your mind?” he challenged.

그 대답과 함께 가리왕의 왕은 분노했습니다. "만약 자네가 욕망을 끊지 않았다면, 당신이 나의… 이 여자들을 볼 때, 당신은 어떻게 당신의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욕망을 참을 수 있는가?" 그는 도전했습니다.

 

“Although I have not cut off lust, I do not give rise to lustful thoughts. In my cultivation I contemplate the nine kinds of impurities.”

제가 비록 육욕을 끊지는 못했지만, 육욕적인 생각을 일으키지는 않았습니다. 제가 수행할 때 저는 아홉 가지 종류의 부정을 관합니다.

 

“Ha!” spit back the king, “you cultivate the contemplation of impurities. You are a cheat! What proof do I have that you do not lust after my women? What proof that you can bear your thoughts of lust?”

"하!" 왕이 침을 뱉었습니다. "자네는 부정에 대한 관을 수행하는군. 자네는 사기꾼이야! 자네가 내 여자를 탐내지 않는다는 증거가 내게 있는가? 자네는 욕망에 대한 생각을 견딜 수 있다는 어떤 증거가 있는가?"

 

“I bear them,” replied the bhiksu. “I can bear anything.”

"나는 참습니다." 비구가 대답했습니다. "저는 무엇이든 참을 수 있습니다."

 

“Oh you can, can you? Well, we shall see about that. First I will cut off your ear.” The king unsheathed his glistening sword, took hold of the bhiksu’s ear, and lopped it off. But that time the ministers and officials had gathered around to see what had caused such commotion. They looked at the young cultivator who appeared totally unmoved and without pain, and they pleaded with the king, “Great King, do not take your sword to him. He is a great master. He must be a Bodhisattva. You must not take your sword to him.”

"오, 할 수 있군. 할 수 있는가? 음, 우리는 그것에 대해 볼 것이네. 먼저 귀를 자르겠네." 왕은 번쩍이는 검을 풀어 비구의 귀를 잡고 잘라 버렸습니다. 그러나 그때 장관들과 관료들은 주위에 모여 무엇으로 그런 소동이 일어났는지 보았습니다. 그들은 그 젊은 수행자가 고통스러워 하지 않고 조금도 동요하지 않음을 보고, 왕에게 간청하였습니다. `대왕님, 칼을 그에게 가져가지 마십시오. 그는 훌륭한 스승입니다. 그는 보살임에 틀림없습니다. 왕께서는 그에게 칼을 가져가서는 안 됩니다.

 

“How do you know he is a Bodhisattva? How do you know?” demanded their king, bristling with jealousy.

"그가 보살이라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자네가 어떻게 아는가?" 왕은 질투로 가득 차서 물었습니다.

 

“Look at him,” said the officials, “you cut off his ear and he did nothing. He has not even flushed. He just sits there as if nothing had happened.”

관리들이 말하였습니다. `그를 보십시오. 왕꼐서 그의 귀를 잘랐지만, 그는 아무것도 하지 않았습니다. 얼굴도 빨개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그냥 앉아 있습니다."

 

“How do you know that he feels as if nothing had happened? I wager in his mind he hates me. I shall try him out again.” He positioned his sword and neatly sliced off the bhiksu’s nose. “Are you angry?”

"그가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느끼는 걸 어떻게 아는가? 그가 나를 싫어한다는 것을 그의 마음속으로 확신하네. 나는 그를 다시 시험해 볼 것이야." 그는 검의 위치를 잡고 비구의 코를 싹둑 잘랐습니다. "화가 나는가?"

 

“I am not angry,” replied the bhiksu.

"저는 화나지 않았습니다."라고 비구가 대답했습니다.

 

“You aren’t? It is more likely that you are a liar as well as a cheat. Perhaps you can cheat these women, but you can’t cheat me. I shall cut off your hand and see what you do. Can you bear it?” his voice shook as he brought down the sword again.

"아니라고? 자네는 사기꾼일 뿐만 아니라 거짓말쟁이일 가능성이 더 높네. 아마 자네는 이 여자들을 속일 수 있지만, 나를 속일 수는 없네. 자네의 손을 잘라내고 자네가 무엇을 하는지 보겠네. 참을 수 있는가?" 그가 다시 검을 내리면서 그의 목소리가 떨렸습니다.

 

“It is all the same to me,” said the bhiksu.

"저는 전과 같습니다." 라고 비구가 말했습니다.

 

“All right, if it is all the same, then I shall cut off your other hand,” which he did, saying with barely controlled rage, “still not angry? Are you enraged yet?”

"좋아. 만약 그것이 전과 같다면, 내가 자네의 다른 손을 잘라버릴 것이네."라고 그는 거의 자제하지 않은 분노로 말했습니다. "아직도 화가 나지 않는가? 자네는 화가 났는가?"

 

“No, I am not enraged,” said the bhiksu.

"아니요, 저는 화나지 않았습니다."라고 비구가 말했습니다.

 

“I don’t believe you. Nobody could stand to have both hands cut off and not get angry. You are certainly a freak,” he said as he cut off one of the bhiksu’s legs. “Still not angry?”

"난 자네를 믿지 않네. 아무도 두 손이 잘리고 화를 내지 않는 것을 참을 수 없네. 자네는 확실히 가짜이네." 라고 그가 비구의 다리 중 하나를 잘라내면서 말했습니다. "아직도 화나지 않았는가?"

 

The king chopped away at the other leg. “Angry?” he nearly screamed once more.

왕은 다른 쪽 다리를 잘랐습니다. "화났는가?" 그는 다시 한번 비명을 지를 뻔했습니다.

 

The maimed bhiksu continued to sit as before, although now both his ears, his nose, both his hands and both legs were totally severed from his body. “I am not angry,” he said once again.

이제 귀와 코, 두 손과 두 다리가 모두 몸에서 완전히 잘려나갔지만 불구가 된 비구는 여전히 예전처럼 앉아 있었습니다. "나는 화나지 않았습니다."라고 그가 다시 한번 말했습니다.

 

But by then the Four Great Heaven Kings were angry and cursing the king, they sent down a rain of hail stones the size of dumplings. The hail beat down so violently that a section of the mountain near the party fell away and went roaring down the slopes. The king froze with fear upon realizing his mistake. He knelt before the earless, noseless, handless, legless bhiksu and begged forgiveness. “I was wrong, I was wrong,” he cried in terror. “Heaven is punishing me. Do not be angry, please do not be angry.”

그런데 그때 사대천왕들이 화가 나서 왕을 저주하면서 만두만한 우박돌을 비처럼 내려보냈습니다. 우박이 너무 심하게 내리쳐서 연회장 근처 산의 한 부분이 떨어져 나가며 굉음을 내며 비탈을 내려갔습니다. 왕은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두려움에 떨었습니다. 귀도 없고 코도 없고 손도 없고 다리도 없는 비구 앞에 무릎을 꿇고 용서를 빌었습니다. "내가 잘못했소. 내가 잘못했소." 그가 공포에 질려 울부짖었습니다. "하늘이 나를 벌하고 있소. 화내지 마시오, 제발 화내지 마시오."

 

“I have not become angry,” said the bhiksu.

"나는 화가 나지 않았습니다." 라고 비구가 말했습니다.

 

“That is not true,” cried the panic-stricken king. “If you are not angry, why is heaven punishing me?” He still thought the bhiksu had called down a curse on him.

"그것은 사실이 아니오."라고 공황에 빠진 왕이 외쳤습니다. "자네가 화가 나지 않았다면, 왜 하늘이 나를 벌하는 것이오?" 그는 여전히 비구가 자신을 저주했다고 생각했습니다.

 

“I can prove that I have not become angry,” said the bhiksu. “If I have, then the extremities of my body will not mend. But if I have not become angry, then my hands, legs, ears, and nose will grow back the way they were.” No sooner had he finished speaking then his legs, hands, ears, and nose perfectly rejoined the trunk of his body. When he was whole again the bhiksu made a solemn dedication to the king, “Upon realizing Buddhahood I will take you across first.”

"저는 제가 화가 나지 않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라고 비구가 말했습니다. "만약 내가 화를 내었다면, 내 몸의 사지는 낫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제가 화를 내지 않았다면, 제 손, 다리, 귀, 코는 원래대로 자랄 것입니다." 그가 말을 마치자마자 그의 다리, 손, 귀, 코는 그의 몸통에 완벽하게 합쳐졌습니다. 그가 다시 온전해졌을 때, 비구는 왕에게 엄숙히 서원했습니다, "불도를 깨닫는 대로 제가 먼저 당신을 제도할 것입니다."

 

Later when the young cultivator was reborn as a young prince who realized the Way and became Sakyamuni Buddha, he first went to the Deer Park to take across the former king of Kalinga, the Venerable Ajnatakaundinya.

나중에 그 젊은 수행자는 어린 왕자로 다시 태어나 도를 깨닫고 석가모니 부처님이 되었습니다. 그는 먼저 전생의 가리왕인 콘단냐를 제도하기 위해 녹야원에 갔습니다.

 

After hearing that account, some people may say, “I think I shall find a bhiksu who practices patience in the mountains and cut off his ears, nose, hands, and legs. Then he will make the vow to take me across when he first realizes Buddhahood.” That plan would be fine if you were assured of meeting a cultivator with a compassionate, patient mind like Sakyamuni Buddha’s. However, if the cultivator gave rise to one thought of anger while you were slicing away at him, then you would fall into the unintermittent hells. So you had better think twice before attempting that method. Besides, you are not a king. If you were a king you might manage it.

그 말을 듣고 어떤 사람들은 "산에서 인욕을 수행하는 비구를 찾아 귀, 코, 손, 다리를 잘라야겠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그는 불도를 처음 깨달을 때 나를 제도하겠다고 서원할 것이다."라고 말할 지도 모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처럼 자비롭고 인욕하는 수행자를 만날 것이라고 확신한다면 그 계획은 괜찮을 것입니다. 하지만, 만약 당신이 그를 베는 동안 그 수행자가 화를 낸다면, 당신은 끊임없는 지옥에 떨어질 것입니다. 따라서 그 방법을 시도하기 전에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게다가, 당신은 왕이 아닙니다. 만약 당신이 왕이라면 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Sakyamuni Buddha referred to his encounter with the King of Kalinga at that point in order to remind Subhuti that he understood the paramita of patience. “When the King of Kalinga dismembered my body, I had no mark of self, no mark of others, no mark of living beings and no mark of a life.”

석가모니 부처님은 그가 인욕 바라밀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수보리에게 상기시키기 위해 그 시점에서 가리왕과의 만남을 언급했습니다. "내가 가리왕에게 온 몸을 마디마디 잘렸을 때, 나는 자아가 있다는 관념, 개아가 있다는 관념, 중생이 있다는 관념, 영혼이 있다는 관념이 없었다.” 

 

'금강경 강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장-6  (2) 2023.02.19
14장-5  (0) 2023.02.10
14장-3  (0) 2023.02.07
14장-2  (0) 2023.02.06
14장-1  (0) 2023.02.04